목록파이썬 (12)
-
1. strip() 함수문자열내에서 원하는 문자열 또는 공백을 모두 제거한다. - 공백을 제거하는 경우string = " abcde "string.strip()# 'abcde' - 문자열을 제거하는 경우string = " abcde "string.strip('c')# 'abde' 2. lstrip() 함수문자열내에서 원하는 문자열 또는 공백을 왼쪽에서 제거한다. - 공백을 제거하는 경우string = " abcde "string.lstrip()# 'abcde ' - 문자열을 제거하는 경우string = " xxxxabcdexxxx "string.strip('x')# 'a..
코드를 짜다보면 더 효율적인 코드 작성을 위해서 실행 시간을 측정하고, 비교해야할 때가 있다. import time start = time.time()#시작한 시각을 start에 저장 """ 본인 코드 작성 """ print("걸린 시간 :", time.time() - start)#현재 시각 - 시작한 시각 이런식으로 코드를 실행하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.
문자열이 알파벳 또는 숫자로 이루어져있는지 확인해야할 때가 있다. 파이썬에서는 내장함수로 1. 알파벳인지 확인하는 함수 2. 숫자인지 확인하는 함수 3. 알파벳 또는 숫자인지 확인하는 함수 를 지원한다. 1. 알파벳인지 확인하는 함수 isalpha() str1 = "abc" str2 = "a b c" str3 = "abc123" print(str1.isalpha()) print(str2.isalpha()) print(str3.isalpha()) 결과 True False False str2 처럼 띄어쓰기가 포함되어있거나, str3 처럼 숫자가 포함되어있는 경우에는 False를 반환한다. 2. 숫자인지 확인하는 함수 isdigit() str1 = '12345678' str2 = '010-1234-5678'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eIsE/btqUTnH97HN/qx3H1HDyOWfljUMzQqxZ4k/img.png)
파이썬에서 round 함수는 반올림을 할때 쓰인다. 위 사진과 같이 5.5를 반올림하면 6이 된다. 하지만 위 사진처럼 5.5를 반올림한 결과와, 6.5를 반올림한 결과가 왜 똑같이 나올까? 그 이유는 우리가 사용하는 반올림은 소수점이 5 이상이면 무조건 올림을 하는 round-half-up 방식이고 파이썬의 round 함수는 소수점이 5이면 가까운 짝수쪽으로 숫자를 반환하는 round-half-even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이다. 따라서 6.5에 round 함수를 적용했을때 6이 아닌 7을 반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. 먼저 0.5를 더하고, int를 적용하면 float가 아닌 int 형으로 바뀌기 때문에 그대로 출력하면 된다.